
김동인의 단편 <배따라기>
지은이 [1900~1951] 소설가. 호는 금동, 춘사. 평양 출생. 일본 도쿄 메이지 학원 중학부 졸업, 가와바타 미술학교 중퇴. 1919년 2월 주요섭, 전영택 등 과 함께 자비로 최초의 순수문예 동인지 <창조>를 발간, 창간호에 처녀작 <약한 자의 슬픔>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들어섰다. 한국 단편소설의 개척자로서 자연주의, 유미주의, 민족주의 등 다양한 사조와 간결하고 현대적인 문체로 주옥 같은 작품들을 많이 남겼다. 1951년, 전쟁 중에 숙환으로 별세했다. 대표작으로 단편 <배따라기> <감자> <광염 소나타> <발가락이 닮았다> <붉은 산> < 광화사> 등과 장편으로 <젊은 그들> <운현궁의 봄> 등 이있다. 김동인은 이광수의 계몽주의, 신경향파∙카프(KAPF: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의 사회주의에 맞서 예술을 위한 예술'로서의 순수문학을 지향하였다. 한국적 리얼리즘 또는 자연주의 문학의 확립, 단편소설의 기반 구축, 문장의 혁신등 우리 문학사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다.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1921년 6월 <창조>에 발표된 한국 최초의 현대적 의미의 단편소 설로 액자소설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자소설이란 외부의 이야 기 속에 또 하나의, 혹은 여러 개의 내부의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는 형식의 소설을 말한다. 액자소설은 외부의 이야기를 통해서 내부의 이야기가 실제로 있었던 일인 것으로 기정사실화함으로써 개연성(절대적으로 확실하지 않으나 아마 그러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성질)을 쉽게 확보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 작품에서 배따라기' 곡조는 외부 이야기와 내부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연결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외부 이야기 속의 해설자인 나' 는 대동강가를 거닐다가 구성진 배따라기 곡조를 듣고 그 노랫가락의 주인공을 찾아가 비운의 사연을 듣게 된다. 내부의 이야기는 나'가 '사내' 즉, 뱃사공이 배따라기를 부르며 방랑하게 된 전후 사정을 기록한 것으로서 이 작품의 중심 내용을 이룬다. 여기에서 사내는 자신의 오해로 인해 그의 아내는 자살하고 아우는 집을 떠났으며, 자신 역시 아우를 찾아 방랑하게 된 사연을 들려준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매우 감정적이고 충동적인 성격의 소유자들 이다. 이와 같은 성격은 아내와 아우를 의심하여 폭력부터 행사하는 주인공 사내, 누명 쓴 것을 참지 못해 곧바로 뛰쳐나가 바다에 투신한 아내, 가장으로서의 책임을 저버리고 집을 나가 떠도는 아우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성격은 필연적으로 비극적인 결과를 불러오는 원인으로 작용하지만, 사내와 아우는 이러한 사건의 인과관계에 대한 성찰은 전혀 없이 '이게 다 운명' 이라고 단정해버린다. 비극적인 운명에 대한 한의 정서를 애처로운 배따라기 가락과 아름다운 바다를 배경으로 하여 매우 서정적으로 그려낸 작품으로, 김동인의 유미주의 작가로서의 면모를 찾아볼 수 있다.
작품 더 연구해 보기 : 함께 읽으면 좋은 작품
셰익스피어 <오델로(Othello)> 영국의 극작가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의 하나. 의심과 질투로 인한 인간의 비극적 결말을 보여 주는 작품으로 주인공 오델로와 배따라기에 등장하는 사내는 닮은 점이 많다. 오델로는 베니스 공국의 흑인 장군으로 원로의 딸 데스 데모나를 사랑하여 주위의 반대를 무릅쓰고 결혼한다. 그러나 오델로는 데스 데모나가 부관인 캐시오와 부정한 관계인 것으로 의심하여 그녀를 살해한다. 뒤늦게 모든 것이 부하 이아고에 의해 꾸며진 일임을 깨달은 오델로는 슬품과 회한에 못 이겨 자살한다. 정신 의학에서 의처증을 '오델로증후군' 이라고도 하는데, 이 용어는 이 작 품의 주인공 오델로에게서 유래한 것으로 특별한 이유나 증거 없이 아내나 연인이 다른 남자와 부정을 저지르고 있다고 믿고 질투하는 증세를 가리킨다.
출처 : 중고생이 꼭 읽어야 할 한국 단편소설 베스트39
'문화가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즈 앤 로지스 5월 내한공연 소식 (Guns N' Roses) (0) | 2025.02.20 |
---|---|
현진건 술 권하는 사회 1921 (0) | 2025.02.19 |
한국 현대 소설사의 흐름 1920년대 (0) | 2025.02.16 |
크리스티앙 브뤠엘의 책 '줄리의 그림자' 내용 소개 (0) | 2024.10.24 |
줄리의 그림자 - 2024 국감에서 소개된 어린이책 (0) | 2024.10.23 |